진은숙 Chink Unsuk

수련과정
1981년~1985년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작곡과 학사 학위 취득
1985년~1988년 함부르크 예술대학(Hochschule für Musik und Theater Hamburg) 작곡과 석사 학위 취득

활동경력
1988년 독일 베를린공과대학 전자음악스튜디오 작곡가 활동
2001년 베를린 도이체 심포니 오케스트라의 상임작곡가 지냄
2001년~2002년 베를린도이치심포니오케스트라(Deutsches Symphonie-Orchester Berlin) 상주작곡가 지냄
2005년 통영국제음악제 상임작곡가 지냄
2006년~2017년 서울시립교향악단 상임작곡가 지냄
2006년~2017년 서울시립교향악단 현대음악 시리즈 ‘진은숙의 아르스 노바’ 개최
2009년 필하모니 에쎈(Philharmonie Essen) 상주작곡가 지냄
2010년~현재 런던 필하모니아 오케스트라의 ‘Music of Today’ 시리즈 예술감독
2014년 루체른 페스티벌(Lucerne Festival) 상주작곡가 지냄
2022년 통영국제음악제 예술감독 선임

수상경력
1985년 가우데아무스(Gaudeamus Award) 국제작곡콩쿠르 1위 수상 (암스테르담, 네덜란드)
1993년 도교도 50주년 기념 국제작곡콩쿠르(東京都制施行50周年記念国際作曲コンクール)에서 <santika Ekatala> 1위 수상 (도쿄, 일본)
“1999년 제26회 국제전자음악콩쿠르(International Electroacoustic Music
Competition)에서 앙상블과 일렉트로닉스를 위한 <씨(Xi)>로 studio and Score Genre of the Electoacoustic Concert Music with Instrument 부문 수상 (부르주, 프랑스)”
2001년 국제작곡가제전(International Rostrum of Composers)(국제음악협회 주최)에서 <Fantaisie méchanique> 추천작 선정
2004년 그라베마이어상(Grawemeyer Awards)에서 바이올린협주곡으로 작곡부문 수상
2005년 아놀드 쇤베르크상(Arnold Schönberg Preis) 수상
2007년 국제작곡가제전에서 <Double Bind?> 추천작 선정
2007년 제2회 대원음악상(대원문화재단 주최) 작곡상 수상
2007년 제3회 경암상(경암교육문화재단 주최) 예술부문 수상
2007년 하이델베르크 예술상(Heidelberger Künstlerinnenpreis) 수상
2010년 브리티쉬작곡상(British Composer Award)에서 첼로협주곡으로 국제부문(Intdrnational Award) 수상
2010년 작곡상(The Musical Composition Prize)(Prince Pierre of Monaco Fondation 주최) 실내악을 위한 <구갈론-거리극의 장면들(Gougalon)>로 수상 (모나코)
2012년 제22회 호암상(호암재단 주최) 예술상 수상
2017년 자랑스러운 서울대인 수상
2017년 제20회 비후리 시벨리우스 음악상(Wihuri Sibelius Prize) 수상 (헬싱키, 핀란드)
2018년 제4회 마리 호세 크라비스(Marie-Josée Kravis Prize for New Music) 음악상 수상 (뉴욕, 미국)
2019년 바흐 음악상(Hamburg Bach Prize 2019)(함부르크시 주최) 수상 (독일)
2021년 레오니 소닝(The Léonie Sonnings) 음악상 수상 (덴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