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이상 Yun Isang

1917~1995

수련과정
1935년 오사카음악학교(大阪音楽学校)(현 오사카음악대학) 입학
1956년~1957년 파리국립고등음악원(Conservatoire National Supérieur de Musique et de Danse de Paris) 수학
1957년~1959년 베를린음악대학교(Hochschule der Künste)(현 베를린예술대학교) 수학
1958년 다름슈타트현대음악제 하계강좌(Darmstädter Ferienkurse) 수학
1985년 튀빙겐대학교(Universität Tübingen) 명예박사 학위 취득

활동경력
1945년~1952년 통영공립고등여학교, 부산사범학교, 부산고등학교 음악교사 재직
1969년 하노버음악대학(Hanover Hochschule für Musik) 강사 재직
1970년~1985년 베를린음악대학교(Hochschule der Künste)(현 베를린예술대학교) 교수 재직
1959년 다름슈타트현대음악제에서 일곱 악기를 위한 음악(Musik für sieben Instrumente) 초연 (다름슈타트, 독일)
1959년 가우데아무스음악제에서 피아노를 위한 다섯 개의 소품(Fünf Stücke für Klavier) 초연 (빌토벤, 네덜란드)
1960년 세계음악제(World New Music Days)에서 현악4중주 3번(Streichquartett Nr. 3) 초연 (쾰른, 독일)
1965년 Tage der Neuen Musik에서 <오 연꽃 속의 진주여(Om mani padme hum)> 초연 (하노버, 독일)
1966년 도나우에슁엔현대음악제에서 대관현악을 위한 <예악(Réak))> 초연 (도나우에슁엔, 독일)
1972년 뮌헨올림픽 문화행사(개막 전야제)에서 오페라 <심청(Sim Tjong)> 위촉 초연 (뮌헨, 독일)
1981년 <광주여 영원히!(Exemplum in memoriam Kwangju für großes Orchester)> 초연 (쾰른, 독일)
1984년 베를린필하모닉오케스트라 100주년 기념곡 <교향곡 1번> 초연 (베를린, 독일)
1987년 베를린 탄생 750주년 기념곡 <교향곡 5번> 초연 (베를린, 독일)
1990년 범민족통일음악회 준비위원장 지냄 (평양)

수상경력
1955년 제5회 서울특별시 문화상 음악부문 수상
1969년 킬 문화상(Kulturpreis der Landeshauptstadt Kiel) 수상
1988년 독일연방공화국 대연방공로십자장(Großes Bundesverdienstkreuz) 수훈
1992년 함부르크자유예술아카데미 플라케테(Die Plakette der Freie Akademie der Künste in Hamburg) 수상
1995년 독일문화원 괴테메달(Goethe-Medaille) 수상

대표저서
윤이상 저, 伊藤成彦(이토 나리히코) 편. 『(尹伊桑) わが祖国, わが音楽』. 東京: 影書房, 1992.
윤이상, 루이제 린저. 『윤이상-루이제 린저의 대담 : 상처입은 용』. 서울: 한울, 1988.
윤이상, 발터 볼프강 슈파러. 『나의 길, 나의 이상, 나의 음악 : 윤이상의 음악미학과 철학』. 서울: HICE, 1994.
윤이상. 『여보, 나의 마누라, 나의 애인 : 1956-1961 : 윤이상이 아내에게 쓴 편지』. 통영: 남해의봄날, 2019.

기타자료
윤이상 평화재단. http://www.yunfoundation.org